목록언어/Python (6)
이것저것 공부기록
1. 두 개의 정수를 입력받고, 이를 밑변과 높이로 하여 삼각형 넓이와 사각형 넓이를 구하시오. (삼각형 넓이 계산, 사각형 넓이 계산하는 함수 만들어 이용) def triangle(width, height): return width*height*0.5 def rectangle(width, height): return width*height a = int(input("첫번째 정수를 입력하세요 : ")) b = int(input("두번째 정수를 입력하세요 : ")) print("삼각형 넓이는 %.2f, 사각형 넓이는 %d입니다." %(triangle(a, b), rectangle(a, b))) 2. 계산기 프로그램 def cal (cal, a, b): if cal == '+': return a+b elif..

함수 · 특정 기능을 하는 코드들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 · 자주 사용되는 코드들을 함수로 만들어서 재사용할 수 있다. · 전체 프로그램을 모듈로 나눌 수 있어 개발 과정이 쉬워지고, 체계적이며 유지 보수도 쉬워진다. 함수 정의 · 매개변수(parameter): 함수에 어떤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변수 (없을 수도 있고, 한 개 이상일 수도 있다.) · 함수 이름을 정하는 규칙은 변수 이름 정하는 규칙과 같음 · 콜론과 들여쓰기 사용 주의 · 반환값이 있으면 return문을 적고, 반환값이 없으면 return문 생략 가능 def 함수이름(매개변수): 함수 내용 ··· return value def convert(F): C = (F-32)*5/9 return C # convert(50) 입..

리스트 · 숫자 또는 문자로 된 값을 여러 개 저장할 수 있는 시퀀스 자료 타입 · 리스트 안에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를 '항목(item)'이라고 한다. · 리스트에서는 항목의 순서가 매우 중요! · 시작과 끝을 표시하기 위해 대괄호 [] 사용 · 내부의 항목을 분리하기 위해 쉼표(,) 사용 · 리스트의 항목으로 어떤 유형의 데이터도 가능 · 객체, 심지어 다른 리스트도 항목으로 가질 수 있으며 항목들이 동일한 유형이 아니어도 가능하다. · 항목이 하나도 없는 리스트도 생성 가능 ex) empty = [] ** C/C++나 자바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리스트와 비슷한 개념인 배열(array)를 사용한다. 리스트는 서로 다른 데이터형도 하나로 묶을 수 있지만,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형만 묶을 수 있다. 리..

반복문 -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문장을 여러 번 반복하는 제어 구조 1. while: 조건 제어 반복 → 몇 번 반복할 지 모를 때 사용 2. for: 횟수 제어 반복 → 몇 번 반복할 지 알 때 사용 while 반복문 · 반복문을 끝내는 조건이 반드시 존재해야 함. → 그렇지 않으면 무한반복 오류 발생 · 조건식 뒤 콜론(:) 필수! (while과 : 사이를 조건식이라고 인식하기 때문) · 들여쓰기 중요 for 반복문 · 반복한 문장을 시작값부터 증가값만큼씩 증가시키면서 끝값번만큼 반복한다. · 끝 값만 필수, 시작값의 기본값은 0, 증가값의 기본값은 1 · for 변수 in range(): 콜론 필수! · 들여쓰기 중요 for i in range(5): # range(5)는 range(0,5,1)과 같..

제어구조 -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1. 순차형(sequence): 명령어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구조 2. 선택형(selection): 두 개 중에서 하나의 명령어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구조 3. 반복형(iteration): 동일한 명령이 반복되면서 실행되는 구조 if문 - 프로그램 내부에서 선택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명령문 - 조건식이 참이면 명령문 실행 **주의사항 1. 조건식 뒤에 콜론(:) 사용 필수 (if와 : 사이의 문장이 조건식으로 인식되기 때문) 2. 실행할 문장은 반드시 들여쓰기 (들여쓰기는 보통 공백 4개 or Tab키 사용) / 동일 블록의 들여쓰기는 동일 개수의 탭이나 공백이 있어야 한다. (블록: 문장을 묶어놓은 단위) 중첩 if문

인터프리터 방식: IDLE에서 한 줄씩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하는 방식 스크립트 방식: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명령어들을 파일에 저장한 후에 파일을 읽어서 명령어들을 하나씩 실행하는 방식 변수 변수: 값을 저장하는 장소 · 변수는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며 컴퓨터 메모리에 있는 값(Value)을 참조하기 위한 이름이다. · 변수는 사용 전에 반드시 값을 할당(assign)해야 한다. · 연속된 값 할당이 가능하다. a = b = c = d = 100 a, b, c = 0, 0, 0 * 변수 이름에 관한 규칙 1. 첫 글자는 영어 대소문자, 언더스코어(_)만 사용 가능하다. 2. 두 번째 글자부터 영어 대소문자, 언더스코어, 숫자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. 3.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별한다. 4. 예..